미국 시간으로 2010년 4월 21일 열린 2010 Facebook F8 키노트 영상을 @vagdads 께서 번역하시고 아낌없이 공유해 주셨네요. 이미 시간이 많이 지난 자료이긴 하나 아직 제대로 못 보신 분들을 위해 몇가지들 정리하여 올리니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이외 참고하실 많안 자료는..
- 하이컨셉님의 분석포스트 http://highconcept.tistory. com/1588
- 미국 실리콘벨리 K-Group의 조성문님의 글 http://sungmooncho.com/2010/ 04/21/facebook/
- 미국 실리콘벨리 K-Group의 조성문님의 글 http://sungmooncho.com/2010/
- 마이후 대표이사 임석영님의글 http://v.daum.net/link/6708078
그리고 키노트의 요약글 입니다.
1. Open Graph
Facebook Connect에 이은 더욱더 Open된 형식으로 여러 사이트들이 가지고있는 Social Graph를 하나로 묶어서 정말 웹 자체를 Social화 하려는 정책입니다. 이젠 Facebook 아이디 뿐만아니라 OAuth 2.0 (트위터 등의 다른 서비스로 로그인후 접근이 가능) 를 기준으로 한다고 하니 Facebook의 확산성은 점점 더 커질 것 같습니다.
2. Social Plugins
말그대로 기존에 존재하는 Social Graph에 Facebook 의 Social Graph를 꼽는다는 뜻으로 예를들어서 CNN의 뉴스를 보다가 이 기사를 Facebook의 내 친구중에 어떤사람들이 좋아하는지 Like 버튼을 통해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3. Graph API
이렇게 Open했다고한들 개발하기 어려우면 말짱 꽝이라는 말과 함께 모든 graph.facebook.com/samuelaxon/ music 와같은 HTML 한줄로 개발할 수 있게 도와준다고 합니다.
4. Facebook Credits
싸이월드의 도토리와 같이 Facebook의 공식화폐인 Credits입니다.
5. Facebook + MS = Docs.com -> Google Docs 겨냥
Facebook 과 MS가 합작해서 Google Docs를 이기기 위한 Docs.com의 beta를 오픈했습니다.
6. Pandora
Social Music 사이트를 만들기위해서 Facebook과 Pandora가 협업을 한다고 합니다.
@vagdads님께서 번역해주신 동영상
[Facebook F8 Keynote 1/4]
[Facebook F8 Keynote 2/4]
[Facebook F8 Keynote 3/4]
[Facebook F8 Keynote 4/4]
'Social Web Story > 트위터/페이스북/구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 API를 사용하기 위한 인증표준 OAuth, 트위터 2010년 10월부터 서드파티에 OAuth만 사용!! (0) | 2010.06.14 |
---|---|
구글이 변화시킨 브라우저와 TV 그리고 그 영향력은? (0) | 2010.05.25 |
[위키피디아] 구글의 기본정보 소개 (0) | 2010.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