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Fun Facebook Accessories










'Social Web Story > 트위터/페이스북/구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위터를 더 좋게 만드는 10가지 기능들 (0) | 2010.07.05 |
---|---|
국내외(구글,페이스북,트위터,네이버,다음 등) 오픈 API 및 커뮤니티 정보 (0) | 2010.06.22 |
트위터,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1) | 2010.06.16 |
트위터를 더 좋게 만드는 10가지 기능들 (0) | 2010.07.05 |
---|---|
국내외(구글,페이스북,트위터,네이버,다음 등) 오픈 API 및 커뮤니티 정보 (0) | 2010.06.22 |
트위터,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1) | 2010.06.16 |
페이스북 관련 재미있는 액세서리 10선 (0) | 2010.07.06 |
---|---|
국내외(구글,페이스북,트위터,네이버,다음 등) 오픈 API 및 커뮤니티 정보 (0) | 2010.06.22 |
트위터,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1) | 2010.06.16 |
1) 지도 API : 지도상의 원하는 위치에 여러가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Daum 지도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손쉽게 웹 사이트에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2) 검색 API : Daum에서 제공하는 주요 검색 결과를 XML/RSS, JSON 포맷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3) 사전 API : Daum에서 제공하는 사전 검색 결과를 XML/RSS, JSON 포맷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4) 컨텐츠 API :Daum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들에 대한 XML/RSS, JSON 포맷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5) UCC API : Daum 사용자들이 만드는 다양한 UCC를 읽고 쓸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6) 쇼핑 API : Daum 쇼핑하우 서비스에 대한 검색 결과를 외부 개발자 및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API 서비스입니다.
7) Daum View API : Daum View에 대한 검색 결과를 외부 개발자 및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API 서비스입니다.
8) 키워드 API : 문장이 주어지면 문맥을 파악해서 중요한 키워드를 추천해주는 API 서비스입니다.
1) 컨텐츠 API :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지식IN, 동영상, 이미지, 전문자료
2) 데이터 API : 책, 영화, 영화인, 지역, 쇼핑, 자동차, 백과사전
3) 지도 API : 자바스크립트 지도, 플래시 지도
4) 검색 API : 블로그검색, 카페검색, 카페글검색, 웹문서검색, 뉴스검색
5) 기능 API : 추천검색어, 성인 검색어 판별, 오타변환, 바로가기
- 지도, 교통, POI검색, 업체검색, 주소<->좌표 변환, 좌표계변환
- 상품검색, 카테고리, 상품정보조회, 상품 이미지 검색, 에러코드
- 상품검색, 구매, 내 개인정보조회(포인트, 쿠폰, 이머니), 판매, 주문정보 조회 및 처리
- 검색 API, 상품 API
- 판도라TV Video Upload & PLAY API
- 동영상 변환 & 업로드 & 플레이
- 앨범, 노래, 가수 검색
- 전체 새글 갯수, 새글이 있는 내 RSS목록, 중요한 글, RSS구독자수, RSS 최근글
- 블로그 API
- 도메인 관련 API
- 글작성, 최신글, 댓글작성, 회원정보, 친구목록, 개인설정 등
이상입니다. 이외 업데이트 되거나 공개된 다른 API 있으면 또 공유하도록 할테니 혹시 이글을 보시는 분들중 Open API 관련된 정보 얻을 수 있는 좋은 국내외 커뮤니티 정보 공유해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트위터를 더 좋게 만드는 10가지 기능들 (0) | 2010.07.05 |
---|---|
트위터,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1) | 2010.06.16 |
IPTV로도 즐기는 트위터 서비스, '쿡TV트윗으로 진화하는 소셜TV' (0) | 2010.06.15 |
국내외(구글,페이스북,트위터,네이버,다음 등) 오픈 API 및 커뮤니티 정보 (0) | 2010.06.22 |
---|---|
IPTV로도 즐기는 트위터 서비스, '쿡TV트윗으로 진화하는 소셜TV' (0) | 2010.06.15 |
Open API를 사용하기 위한 인증표준 OAuth, 트위터 2010년 10월부터 서드파티에 OAuth만 사용!! (0) | 2010.06.14 |
※ 아쉬운점 1. IPTV 네트웍망의 문제인지 화면이 전환될 때마다의 속도가 매우 느립니다. 2. 해쉬태그를 이용해서 또는 리트스 팔로윙을 통해서라도 해당 컨텐츠(TV채널)을 이용하는 시청자간의 글들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기능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3. UI에 대한 고민이 더 많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외람된 말이지만 '쿡TV트윗'을 개발하신 분들이 트위터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맞나 하는 의심들 정도로 트위터 사용자에게 불편한 가독을 제공합니다. |
트위터, 소셜 네트워크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1) | 2010.06.16 |
---|---|
Open API를 사용하기 위한 인증표준 OAuth, 트위터 2010년 10월부터 서드파티에 OAuth만 사용!! (0) | 2010.06.14 |
2010 Facebook F8 Keynote by Mark Zuckerburg 내용요약모음 및 국문버전동영상 (0) | 2010.05.26 |
네이버의 Open Api에서 발췌된 내용으로는 Open API를 사용하기 위해선 인증이 필요합니다. 인증방식의 표준이 없기 때문에 제 각각의 방법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인데요. 구글의 AuthSub, AOL의 OpenAuth, 야후의 BBAuth OAuth는 제각각의 인증방식을 표준화하고 가장 좋은 방법만 가져다 만들었습니다.
즉 매쉬업 서비스로 만들어진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정보를 접근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하는 스펙입니다.
위 내용을 조금 더 쉽게 이야기 하면 A라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는 A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A 서비스를 이용해서 B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A 서비스의 사용자 정보가 필요한데 이때 OAuth의 인증방식을 통해 B 에서는 인증된 A의 개인정보 토큰을 받아 로그인을 하게 하며 이는 A 에서 로그인 한것과 같이 B에서도 처리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국내에서는 오픈아이디에서 OAuth 인증방식을 채택해서 사용하였고 최근 네이트에서도 같은 방식을 채택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트위터에서는 2010년 7월부터는 서드파티에게 기존의 인증방식 중 OAuth 만을 사용가능하도록 한다니 관련 개발자 분들을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OAuth 인증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선 용어를 미리 숙지하셔야 하니 참고하세요.
◦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 – OPENAPI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 사용자(users) - 서비스 프로바이더 혹은(그리고) 컨수머를 사용하는 이를 말합니다.
◦ 컨수머(Consumer) – API를 사용하여 개발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말합니다.
◦ 보호된 자원(Protected Resources):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 컨수머 개발자(Consumer Developer) : 컨수머를 개발하는 개인 혹은 단체
◦ 컨수머 키(Consumer Key) : 서비스 프로바이더에게 컨수머 자신임을 인증하기 위한 키
◦ 컨수머 시크릿(Consumer Secret) : 컨수머의 컨수머 키 소유권한이 있는지 인증하기 위한 키
◦ 토큰(Tokens) – 컨수머에서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있는 사용자의 보호된 자원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의 인증정보입니다.
▪ 리퀘스트 토큰(Request Token) : 컨수머가 사용자에게 접근권환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값이며, 이것은 차후 액세스 토큰으로 교환됩니다.
▪ 리퀘스트 토큰 시크릿(Request Token Secret) : 리퀘스트토큰이 사용자의 것임을 인증하기 위한 값입니다.
▪ 액세스 토큰(Access Token) : 컨수머가 사용자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를 통해서가 아닌 컨수머를 통해서 보호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받기 위한 값입니다.
▪ 액세스 토큰 시크릿(Access Token Secret) : 액세스토큰이 사용자의 것임을 인증하기 위한 값입니다.
OAuth 인증방식의 흐름도입니다.
OAuth 인증 방식에는 7가지의 인증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B; Service Provider가 Request Token 발급
C; Consumer는 사용자를 Service Provider로 이동, 사용자를 인증하고 토큰 발급을 확인함
D; Service Provider는 사용자를 Consumer로 이동
E; Consumer는 Access Token 요청
F; Service Provider는 Consumer의 신원과 Request Token 확인, Access Token 발급
G; Consumer는 Access Token으로 사용자 정보에 접근
[관련사이트]
http://oauth.net/, http://wiki.oauth.net/OAuthSummit2008
http://dev.springnote.com/pages/1083036
[OAuth 인증 관련 예제]
IPTV로도 즐기는 트위터 서비스, '쿡TV트윗으로 진화하는 소셜TV' (0) | 2010.06.15 |
---|---|
2010 Facebook F8 Keynote by Mark Zuckerburg 내용요약모음 및 국문버전동영상 (0) | 2010.05.26 |
구글이 변화시킨 브라우저와 TV 그리고 그 영향력은? (0) | 2010.05.25 |
Open API를 사용하기 위한 인증표준 OAuth, 트위터 2010년 10월부터 서드파티에 OAuth만 사용!! (0) | 2010.06.14 |
---|---|
구글이 변화시킨 브라우저와 TV 그리고 그 영향력은? (0) | 2010.05.25 |
[위키피디아] 구글의 기본정보 소개 (0) | 2010.05.14 |
지난 5월 19일 구글이 크롬 웹스토어(Chrome Web Store)를 선보였다. 이를 통해 개별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앱(App)을 개인 브라우져에 직접 설치할 수 있게되었다. 여기서 더욱 중요한 것은, 애플의 앱스토어와 동일하게 구글의 체크아웃(Checkout)이라는 지불체계가 크롬 웹스토어에 통합되었다는 점이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브라우져 혁신이 어떤 변화를 가능하게할지 간략하게 예측해 본다. 특히 끝부분에는 이 브라우져 혁신이 구글TV의 높은 성공 가능성과 결정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웹브라우저와 스토어(Store)의 결합: 개발자 유익
1990년 웹브라우저가 처음으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이후, 브라우저는 하나의 ‘소프트웨어’였다. 사용자는 브라우저에 HTTP 주소를 입력하거나 또는 이를 모를 경우 검색서비스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찾고, 찾은 정보를 즐기며 때론 이를 공유한다. 이것이 지난 20년간 이어져온 브라우저의 핵심 기능이다.
이러한 브라우저 기능에 첫 변화를 준 것은 파이어폭스의 애드온(Add-on)이라는 훌륭하고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다. 그리고 이 브라우저 부가 기능에서 한발 더 나아간 것이 이번 구글 크롬의 웹스토어다. 부가 기능 뿐 아니라 문서편집기 등 전통적으로 운영체계(OS)에서 작동되는 각종 프로그램을 사용자는 브라우져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데스크톱용 트위터 앱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트윗덱(Tweetdeck)을 사용자는 이제 크롬 웹스토어에서 내려받아 브라우저에 ‘설치’하고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파이어폭스 애드온이나 지금까지 구글 크롬의 확장 기능은 ‘개발자 입장’에서 볼 때 두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Anthony Ha가 지적하듯, 1. 각 앱의 어려운 발견성(discoverability)과 2. 각 앱의 유료판매(monetization) 불가능이 그것이다. 그러나 보다 가시적으로 선명하게 브라우저에 통합된 크롬 웹 ‘스토어(Store)’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앱을 찾고, 구매하고,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중략)
구글의 구글 TV 개발 계획이 마침내 베일을 벗었다. 시작부터 소니, 인텔 등 수많은 파트너를 끌어 모으며, 삼성전자, LG전자, 파나소닉 등 가전업체와 케이블 TV, IPTV, 위성 TV 등 통신업계 등 관련 업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구글이 선보인 새로운 TV는 관련 산업군에 과연 어떤 영향을 미칠까.
구글 TV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크롬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킨다.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10.1을 지원하기 때문에 유투브를 비롯한 다양한 인터넷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으며, 넷플릭스, 아마존 주문형 비디오 등 수백개의 방송 프로그램과 디시 네트워크의 위성 TV 콘텐트도 즐길 수 있다.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하는 만큼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구매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구글 TV는 하나의 스크린에서 다양한 방송 및 유료채널,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인터넷 서핑 등 다양한 콘텐트를 활용할 수 있도록 통합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홈스크린에서 사용자들이 즐겨찾는 콘텐트를 사용자 취향에 맞게 개인화해서 보여주기 때문에, 콘텐트의 바다에서 원하는 영상을 찾아헤매는 수고를 덜어준다.
(생략)
기사 바로가기 --> http://www.bloter.net/archives/31625
(발췌 : 블로터닷넷)
2010 Facebook F8 Keynote by Mark Zuckerburg 내용요약모음 및 국문버전동영상 (0) | 2010.05.26 |
---|---|
[위키피디아] 구글의 기본정보 소개 (0) | 2010.05.14 |
[위키피디아] 트위터의 기본정보 소개 (0) | 2010.05.14 |
구글 역사 |
현재 구글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있는 검색 엔진으로 현재나스닥에 상장된 기업이다. 특히 영어권에서는 독보적인 점유율을 보이고있다.
구글은 PDF, 포스트스크립트,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플래시 문서들을 포함한 웹 문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외에 구글 이미지 검색, Google 뉴스 한국, 구글 뉴스그룹, 구글 웹 디렉토리, 구글 비디오, Froogle 서비스에서 이름이 변경된상품 검색, 구글 맵, 구글 어스 등의 주요 검색 서비스가 있다.
또한 검색 서비스 외에 추가적인 서비스들을 제공하는데 이에는 2004년 시작된 이메일 서비스인 Gmail와 YouTube, 피카사, Google 사전, Google 리더, iGoogle, 기업 사용자를 위해서 각종 웹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구글 앱스[1]등이 있다.
구글 광고 |
구글은 광고주에게 애드워즈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입찰함으로써 검색 결과 옆에 뜨는 텍스트 광고를 구매할 수 있다. 희소성이 높은 키워드는 클릭당 광고비가 더 비싸게 책정된다.
애드센스를 통해서 광고를 하고 싶어하는 회사와 관련 싸이트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애드워즈와 유사한 자동화 프로그램을 통해 둘을 연결해 준다.
구글은 클릭당 지불 데이터를 가지고 해당 광고를 클릭 할 때만 비용을 내도록 한다.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는 광고주에게 해당 광고의 효과를 즉시 확인 할 수 있는 무료 툴을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은 매시간 클릭수와 판매량, 해당 기워드의 트래픽, 클릭이 판매로 이어진 비율 등 광고 효과를 즉각 확인 할 수 있게 해준다.
구글 검색의 특징 중 하나는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의 링크를 분석하여 많이 연결된 페이지를 더 좋은 문서로 판단하는 것인데 이것을 페이지랭크(PageRank)라고 한다. 구글의 알고리즘은 접속빈도가 잦고 연관성이 높은 링크를 상위에 노출할 뿐 아니라, 신뢰성에도 가산점을 부여한다. 특정 링크의 클릭률이나 특정 링크가 얼마나 많이 링크되었는지를 기록해 '연관성'점수를 부여한다. 이렇듯 정량화된 값을 창립자 페이지의 이름을 따서, 페이지 링크pagerank라고 한다.
구글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는 보통 PC들로 구성된 컴퓨터 클러스터들인데, 이 클러스터들은 일을 병렬적으로 처리하여 방대한 양의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한다. 특히 여러 대의 PC를 운영하면서 계속적인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기 위해 한 컴퓨터에 오류가 났을 경우 그 컴퓨터는 꺼지고, 다른 컴퓨터가 일을 계속 처리하도록 한다. 구글은 이러한 방식이 거대하고 비싼 컴퓨터(서버)를 대신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증명했고 이러한 방식을 지금도 사용하고 있다.
구글은 흔히 'Don't Be Evil' (악해지지 말자) 라는 모토를 사용하고 있으나 오랜 기간 사용자 컴퓨터 내에 살아 있는 쿠키에 대한 비난으로, 미국의 인권단체 'Public Information Research' 에 의해, 구글은 빅브라더 상(Big Brother Awards)의 후보가 되기도 했다.
기업문화 |
모든 구글 엔지니어들은 업무 시간중 20%(주 5일 근무 기준으로 일주일중 하루)를 그들이 흥미로워하는 프로젝트에 사용하도록 권장된다. 몇몇 구글의 새로운 서비스들, 예를 들어 Gmail, 구글 뉴스, Orkut, AdSense는 이러한 직원들의 독립적인 프로젝트들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구글의 검색 제품 및 고객 경험 파트의 부사장인 매리싸 마이어는 스탠퍼드 대학에서의 연설에서 새로 런칭되는 서비스의 50%가 이러한 20% 시간을 통해 시작되었다고 말한 바 있다.[2]
공식적인 구글의 기업모토는 아니며, 구글의 회의에서 Gmail의 개발자 등이 제안했던 모토로, Don't be evil이 담고 있는 내용 그대로 "사악해지지 말라"라는 의미이다. 이 모토는 단시간 동안의 이익을 위해 장시간 동안 쌓아올려지는 이미지, 신뢰성 등을 포기해서는 안된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
구글 서비스 보기 |
웹 상에 존재하는 질문과 답변 형태의 지식정보를 검색합니다
전세계 뉴스를 검색합니다
컴퓨터의 정보를 검색합니다
원하는 책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검색합니다
웹을 주제별로 검색합니다
가장 좋아하는 주제로 블로그를 검색합니다
전 세계 동영상을 검색하고 감상합니다
모르는 단어, 구문, 숙어의 의미를 검색합니다
원하는 상품에 대한 가격 및 제품 정보를 검색합니다
원하는 뉴스 및 검색결과를 이메일로 받아봅니다
80억 개 이상의 웹페이지를 검색합니다
보다 향상된 검색을 활용합니다
웹 상의 이미지를 검색합니다
전 세계의 주소, 상점, 서비스의 위치와 정보를 검색합니다
속도, 안정성, 그리고 보안을 위해 제작된 Google의 웹 브라우저
화제가 되는 실시간 토픽을 보여줍니다
브라우저에 검색창을 답니다
논문 및 전문 학술자료를 검색합니다
온라인에서 자신의 일상을 공유합니다
스팸없는 대용량 무료 이메일을 제공합니다
사진 검색, 편집 및 공유가 쉬워집니다
3D 모델을 쉽고 빠르게 만들어 보세요
동영상을 보고 나누고 업로드하세요
메일링 리스트 및 토론 그룹을 만듭니다
전 세계 사용자들의 지식을 공유합니다
자주 찾는 웹사이트들의 최신정보를 한 번에 봅니다
온라인으로 프로젝트 및 문서를 공유합니다
다른 언어로 웹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일정을 만들고 친구와 공유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이야기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소통합니다
컴퓨터로 전화를 걸고 인스턴트 메시지를 보냅니다
휴대전화로 Google에 접속합니다
유용한 무료 소프트웨어를 모아 놓았습니다
구글 랩스 보기 |
구글 랩스는 현재 구글에서 개발중인 서비스를 공개하는 곳으로 오픈베타서비스와 같은 개념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구글)
구글이 변화시킨 브라우저와 TV 그리고 그 영향력은? (0) | 2010.05.25 |
---|---|
[위키피디아] 트위터의 기본정보 소개 (0) | 2010.05.14 |
2010년 주목할만한 구글 실험실 프로젝트 - IDG (0) | 2010.05.04 |
트위터 (Twitter)는 무료 소셜 네트워킹 겸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이다. 사용자들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 (SMS), 인스턴트 메신저, 전자 우편 (e-mail) 등을 통해 "트윗" (Twit; 140 characters 한도 내의 문자)을 트위터 웹사이트로 보낼 수 있다 (업데이트).[2] 트윗은 사용자의 프로파일 페이지 (Profile page)에 표시되며, 또한 다른 사용자들에게로 전달된다. 사용자들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 트위터 인터넷 홈페이지, RSS(수신 전용), 그리고 응용 프로그램인 트위트덱 (TweetDeck), 트위티 (Tweetie), 트위테리픽 (Twitterrific), 에코폰(Echofon), 피덜라이저 등으로 서비스를 이용한다.
미국 내의 트위터 사용자로서 유명인은 정치인인 존 에드워즈와 버락 오바마를 꼽을 수 있다.[3] 또 저술가이자 저널리스트인 애나 데이비드를 예로 들 수 있다.[4]
트위터 역사 |
트위터는 미국 샌 프란시스코 지역의 벤처 기업인 오데오 사 (Odeo, Inc.)의 에반 윌리엄스 (Evan Williams)와 노아 글래스 (Noah Glass)가 고안한 연구 개발 프로젝트에서 출발하였다.[2]
트위터는 루비 온 레일즈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5] 트위터는 2006년 3월에 오픈하였다. 트위터의 창업주는 잭 도시 (Jack Dorsey; Chairman), 비즈 스톤 (Biz Stone; Creative Director), 에반 윌리엄스 (CEO), 노아 글래스이다. 트위터는 2007년 4월에 오데오 사에서 분리되어 서비스 이름 그대로의 (Twitter, Inc.) 자체 회사를 갖게 되었다. 2007년 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 페스티발 웹 상 (South by Southwest Festival's Web Award) 블로그 부문을 수상하였다.[6] 공동 창업자 잭 도시는 수상 소감을 이렇게 밝혔다: "140자 미만의 수상 소감을 말씀드립니다. 우리는 해냈습니다!"
사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트위터는 많은 문제에 봉착하고 있다. 월 스트리트 저널 (Wall Street Journal)은 다음과 같이 보도하였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은, 서비스에 대한 얼리 어답터 (Early Adapter)들인 기술 분야에 정통해 있는 사람들의 다양한 감정들을 이끌어 내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의 팬들은 이것들이 일로 바쁜 친구들과 연락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사용자들은 '연결'이 너무 강한 것으로 느껴진다고 한다. 예기치 않은 때에 날라오는 메시지들과 씨름하고, 많이 나온 휴대전화 요금 청구서에 놀라고, 친구들로 하여금 그들이 저녁에 무엇을 먹나 그만 좀 알려 주도록 말하고 하면서 말이다."[7]
트위터의 보안 취약점 중 첫 번째는 2007년 4월 7일 니테쉬 단자니 (Nitesh Dhanjani)가 보고하였다. 이 문제는 트위터가 SMS 메시지 오리지네이터를 사용자 계정의 인증(authentication)의 일종으로 사용함으로써 발생하였다. 니테쉬 단자니는 fakemytext.com를 사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스푸핑하였다. 그 결과, 트위터로 하여금 임의의 메시지를 피해자(victim) 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게 하였다. 해커 (Hacker)들은 단지 피해자의 전화번호만 알아도 이 취약점을 활용할 수 있었다.[8] 이 취약점 발견 후 몇 주가 지나, 트위터는 선택 사항으로서 PIN을 도입하였다. 트위터 사용자들은 단문 메세지를 PIN을 이용하여 인증할 수 있게 되었다.
트위터 기능 |
"트윗(tweet)"이란 말은 영어로 '짹짹(작은 새가 우는 소리)'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므로 '트위터'라는 말은 '짧게 재잘거리다' 라는 말로도 표현이 가능하다. 즉 기존의 장문의 글을 쓸 수 있던 블로깅 서비스와는 별도로 단문만을 전용으로 이용하는 서비스이다. 더불어 단문만을 이용함으로써 이동 통신으로도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살렸다. "트윗"을 140 글자 (Character)로 제한한 점 또한 이것 때문이다. 미국의 SMS는 160 글자로 한정되어 있는데, 여기서 나머지 20 글자는 사용자 아이디가 입력될 공백인 셈이다.[2]
트윗 업데이트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페이지에 표시된다. 또한, 그 사용자의 이야기를 듣고자 follow를 한(그 사용자의 업데이트를 구독한다는 뜻이다) 다른 사용자에게 즉시 전달된다. 트윗을 보내는 사용자는 그의 친구 중 누구에게 트윗을 보낼 것인지 제어할 수 있다. (초기 설정은 누구에게나 보내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들은 트위터 웹사이트, 인스턴트 메시징, SMS, RSS, 전자 우편 혹은 응용 프로그램 등을 통해 트윗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다. SMS 기능에 관해서는 현재 3 곳의 게이트웨이 번호가 존재한다. 미국, 캐나다를 위한 쇼트 코드 (Short Code) 및 국제 사용자를 위한 영국 번호가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들은 서드 파티 업체들을 통해 전자 우편을 통해 업데이트를 포스트하고 받을 수 있다.
검색엔진 |
미니 블로그 트위터에 올라온 글을 검색하는 검색엔진이다. 실시간 검색엔진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트위터자체의 검색엔진이 있긴 하지만, 그 기능이 미약하여 정보를 파악하기 힘든 점 때문에 많은 트위터 검색엔진들(예:topme, scoopler, oneriot)이 만들어지고 있다.
유사 사이트
트위터의 성공에 자극 받아, 매우 많은 수의 유사 사이트가 생겨났다. 세계적으로 트위터의 콘셉트를 따라하는 유사 사이트가 많이 생겨났다. 특정 국가에 한정된 서비스(예: frazr, 미투데이, 네이트커넥트)도 생겨났다. 마이크로-블로깅과 다른 아이디어를 조합한 예, 예를 들어, 파일 공유 (Pownce) 기능이 들어간 서비스도 생겨났다. 2007년 5월, 트위터와 유사한 서비스가 전 세계적으로 111 개에 달했다는 얘기가 나오기도 하였다.
[위키피디아] 구글의 기본정보 소개 (0) | 2010.05.14 |
---|---|
2010년 주목할만한 구글 실험실 프로젝트 - IDG (0) | 2010.05.04 |
구글 메일 관리하기 - 라벨관리, 유사메일필터링(그룹스) (0) | 2010.05.03 |